사상사(思想史)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주자학(朱子學)이라 부르는 성리학(性理學)을 생각해봐야 한다. 성리학은 중화사상(中華思想, Sinocentrism)이고 (화이분별(華夷分別) 또는 화이분별론(華夷分別論)에 따라 우리를 오랑캐로 본다. 오랑캐를 면하려면 중국 문화를 모방해야 한다. 즉, 모화(慕華)가 문화의 이념이었다. 글자에서도 중국을 따라야 한다. 독자적인 문자는 오랑캐의 상징이다. (우리말을 차별하고 천대하는 구조화를 낳게 한 것이다.) 이는 한글 반대파인 최만리 등이 상소문에서 ‘중국과 같은 글자를 써야 한다’는 뜻으로 쓴 ‘동문(同文)’에서도 나타난다. 당시 일본, 여진, 서하(西夏), 토번(吐蕃) 등은 고유 문자를 사용했는데 최만리는 이를 두고 문화 민족인 우리는 이들과 같을 수 없다고 했다. 한글 반대파 입장에서는 한자를 쓰지 않으니 모두 오랑캐다. 그런데 우리가 왜 오랑캐 문자(언어)를 만들어 쓰려 하느냐는 게 이들의 논리다. 그러면서 여자, 어린 아이가 보는 게 언문(言文)이라고 폄하했다. 반면 한문은 성현의 권위 있는 문자(언어)로 인식했다. 중세 유럽의 공동 언어가 라틴어에 뿌리를 두고 있듯이 한문은 공통어이고 신성한 문자라고 생각했다. 한문이 언어의 뿌리이고 독점적인 언어라고 인식했다. 그래서 한글을 창제했지만 공문서에 한글은 쓰지 않고 오로지 한자만 사용했다. 한글을 외면했다.
Leave a comment
You must be logged in to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