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과사회™ 뉴스

[새로 나온 흥미로운 책]

합계출산율 0.75명, 65세 인구 1,000만 명 돌파! 초저출산·초고령화, 인구절벽이라는 임박한 현실과 암울한 미래의 우리나라! 결혼을 안 하고 아이를 낳지 않는 사회, 젊은이들보다 고령층이 더 많이 일하는 사회, 소비시장이 줄어들어 판매전략을 바꿔야 하는 기업, 출산 장려 정책을 내놓지만 가시적인 성과를 찾지 못한 정부… 우리 삶과 직결된 결혼, 출산, 가족, 교육, 일자리 등 인구감소 시대에,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한국경제연구원을 주축으로 한 최고 전문가 13인이 제시하는 축소되는 세상에서도 성장할 수 있는 전략과 아이디어!

[새로 나온 흥미로운 책]

축소경제 이야기
-진짜 충격은 아직 오지도 않았다
-지금이 축소경제를 대비할 수 있는 골든타임

지금, 우리가 준비해야 할 미래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축소경제 사회로의 전환
한국경제연구원 외 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5년 07월 09일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48696573

목차

추천사
프롤로그 “지금이 축소경제를 대비할 수 있는 골든타임!”

1장 저출산·고령화가 우리 삶을 바꾸고 있다

사라지는 아이들, 늙어가는 대한민국
전 세계 저출산 열차, 한국은 어디쯤?
2060년, 우리나라의 경제시계는 거꾸로 간다
인구가 줄어도 성장을 멈추지 않는 방법은?
인구위기가 가져올 청구서에 대비하라

2장 축소경제에서 우리는 어떻게 살아갈까?

전통 가족의 붕괴, 새로운 가족의 출현
고비용이라서 결혼은 사양합니다
육아도 커리어다. 여성이 일할 수 있는 사회
고령화의 그늘, 고령 근로로 더 길어질 일자리
평생 직장에서 평생 직업으로, 이제는 유연직장
사람이 줄면, 집도 달라진다. 인구충격과 주거 변화
국민연금만 믿을 수는 없다. 미리 대비하는 7가지 자산관리법

3장 경제적 기회는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고성장이 외면했던 실속 있는 틈새시장을 찾아라
실버가 파워다. 고령층의 소비를 겨냥하라
아이 수가 줄어도 교육시장은 팽창한다
소수의 고객을 영원한 고객으로 만들어라
저출산·고령화 시대, 기업들은 가족친화경영 삼매경
인구감소, 해외 기업들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

4장 정부와 기업이 함께 설계하는 미래

인구비상사태, 저출산·고령화의 파고를 넘어
수축사회일수록 도시로 몰려든다
인구위기 극복, 기업의 역할과 정부의 지원이 중요하다
다양성의 사회는 이제 대세다!
‘누구도 낙오되지 않는(NOW)’ 사회를 향해

이 책의 특징은, 한국경제연구원에서 1,000여 명의 일반대중과 전문가들(학계, 연구소, 정부부처 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투 트랙(two track)으로 저출산·고령화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결혼과 출산은 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저출산·고령화에 필요한 정책은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 등 일반대중과 전문가가 생각하는 문제점과 애로점 등 현실적인 통계를 기반으로 전략과 아이디어를 담아냈다.

About 김종영™ (949 Articles)
사람과사회 발행인이자 편집장이다. ‘글은 사람과 사회며, 좋은 비판은 세상을 바꾼다’는 말을 좋아한다. weeklypeople@gmail.com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