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과사회™ 뉴스

“죽음의 눈물은 끝나지 않았다!”

국경없는의사회, 에볼라 1년 보고서 ‘에볼라, 한계 그 너머까지’ 발간

6320053135

“서아프리카 에볼라는 끝나지 않았다!”

국경없는의사회, 에볼라 1년 보고서 ‘에볼라, 한계 그 너머까지’ 발간
‘국제사회는 뒷짐만 지고 있었다’…국제사회의 에볼라 대응 비판적 분석
에볼라 확산은 국제사회 실패와 구호마비·늑장대응 등 최악 상황의 결과

역대 최대 규모의 서아프리카 에볼라 발병 1주년을 맞아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인 국경없는의사회는 지난 1년간 이뤄진 국제사회의 서아프리카 에볼라 대응을 비판적으로 분석한 보고서를 23일 발표했다.

‘에볼라, 한계 그 너머까지(Pushed to the limit and beyond)’라는 제목으로 발간한 이 보고서는 이번 위기에 대한 국제사회의 미흡한 대처를 드러내고, 전반적으로 감염환자 수가 감소하고 있으나 에볼라 확산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경고의 메시지도 함께 전하고 있다.

국경없는의사회의 보고서는 에볼라 대응 활동에 참여했던 국경없는의사회 구호 활동가와 직원 수십 명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작성했다.

이번 보고서에는 1년 전 기니에서 에볼라 바이러스가 퍼지고 있다는 사실을 국경없는의사회가 일찍이 경고했던 내용, 에볼라 영향을 받는 국가의 정부가 처음에 해당 사실을 부인했던 내용, 그리고 주변국까지 바이러스 확산이 계속될 때 국제사회가 제때 대응하지 않아 국경없는의사회가 전례가 없는 행동을 취할 수밖에 없었던 조치 등의 이야기까지 생생하게 담고 있다.

국경없는의사회 국제 회장을 맡고 있는 조앤 리우(Joanne Liu) 박사는 “오늘, 우리는 그간의 에볼라 대응 활동을 함께 반성해 보면서, 역사상 가장 치명적이었던 에볼라 창궐에 국경없는의사회와 국제사회가 어떻게 대응했는지 비판적인 눈으로 돌아보고자 한다”며 “이번 서아프리카 에볼라 창궐은 공중보건과 구호 체계가 긴급 상황에 처했을 때 얼마나 느리고 비효과적인가를 낱낱이 드러낸 이례적인 사례”라고 말했다.

국경없는의사회의 이번 보고서는 수개월간 ‘국제사회가 하나같이 뒷짐을 지고 있었던’ 결과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자세히 밝히고 있다. 국경없는의사회는 생물학적 재해 확산 방지에 관한 전문 지식을 갖춘 일반인 및 군 인력을 급파해야 한다고 이례적으로 국제사회에 호소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 사이에 바이러스는 무섭게 퍼지기만 했다.

조앤 리우, “공중보건과 구호체계 비효율성 드러낸 이례적 사례”

지난해 8월 말, 라이베리아 수도 몬로비아에 있는 국경없는의사회의 엘와 3 에볼라 치료센터는 몰려드는 환자들을 모두 감당할 여력이 되지 않았다. 그 결과 다른 사람을 감염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잘 알면서도 눈에 보기에도 매우 아픈 환자를 문 앞에서 돌려보내야 했다.

크리스토퍼 스톡스(Christopher Stokes) 국경없는의사회 벨기에 사무총장은 “이번 에볼라 확산은 퍼펙트 스톰(각각은 위험하지 않으나 동시 발생하면 무서운 결과를 낳는 일들의 조합)이라고 일컬어져 왔다”며 “이미 취약한 공중보건 체계 속에서 바이러스가 국경을 넘나들며 무시무시하게 퍼져 나가 전례 없는 상황을 초래한 것”이라고 말했다.

스톡스 총장은 “하지만 단순히 설명될 일은 아니다”며 “에볼라 확산이 이만큼 통제 불가능한 지경에 이르는 것은 여러 체계가 무너져야 일어나는 일인데, 실제로 그런 상황이 벌어졌으며, 그 결과 막을 수 있는 상황조차 막지 못해 비극적인 결과를 초래했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는 지난 1년간 국경없는의사회가 맞닥뜨린 난제들, 치료제도 없고 자원도 부족한 상황에서 내려야 했던 어려운 선택들을 자세히 짚고 있다. 또한 이제껏 국경없는의사회가 대응해 온 에볼라 발병 사례들은 비교적 소수의 전문가 집단에 의해 가능한 것이었던 반면 이번 에볼라 확산에서는 더 많은 자원을 좀 더 일찍 동원했어야 했다는 점도 지적했다.

크리스토퍼 스톡스, “막을 수 있는 상황조차 막지 못해 비극 초래”

유례가 없는 강도로 바이러스가 확산되고 국제사회의 대응은 매우 취약한 와중에 국경없는의사회 팀들은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초점을 맞춰 활동했다. 또한 모든 것을 다할 수는 없었기 때문에 환자 간호, 감시 활동, 안전한 시체 매장, 지역사회 홍보 활동 등 우선순위 활동들 사이에서 타협점을 찾아야 했다.

조앤 리우 국경없는의사회 회장은 “바이러스 확산이 가장 심했던 시기에 국경없는의사회 팀들은 더 많은 환자를 치료센터에 받아 최선의 간호를 제공하는 일을 할 수 없었다”며 “의료계 종사자들이 자발적으로 뜻을 모아 세운 단체인 국경없는의사회 입장에서 이번 에볼라 확산은 매우 고통스러운 일이었고, 그래서 국경없는의사회 내에서도 열띤 논쟁이 일어났다”고 말했다.

국경없는의사회는 이번에 얻은 교훈을 향후에 적용할 수 있도록 이번 에볼라 대응을 되돌아보고 있다. 에볼라 치사율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환자들의 데이터를 정리, 분석도 진행하고 있다.

그러면서 현재 중요한 점은, 에볼라 백신 및 치료제, 진단 도구에 대한 연구·개발을 지속할 수 있도록 국제적인 전략을 반드시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경없는의사회는 서아프리카 에볼라 확산에 종지부를 찍기 위해서는 여전히 중대한 과제가 남아 있다고 분석했다. 에볼라 감염자와 접촉한 모든 사람을 찾아내야 하는데, 하나의 실수도 없이 철저해야 하며, 이만하면 됐다는 자족도 허용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집계하고 있는 주간 환자 수는 여전히 과거 그 어떤 전염병 확산 때보다도 높으며, 1월 하순 이후로 전체 감염자 수가 크게 줄어들지 않고 있다는 설명도 들어 있다.

“지난 한 해 동안 의료진 500명 가까이 목숨 잃어”

국가별로 보자면 기니에서는 환자 수가 다시 증가하고 있다. 시에라리온에서는 기존 감염자와 접촉했던 사람 명단에 없는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감염자로 확인되고 있다.

라이베리아 수도 몬로비아에서는 3월 20일에 에볼라 확진 환자가 나왔는데, 이는 라이베리아에서 마지막 환자가 퇴원한 지 2주가 넘은 시점에서 다시 감염환자가 확인된 것이다.

국경없는의사회 보고서 ‘에볼라, 한계 그 너머까지’는 “에볼라의 충격으로 사람들은 의료 시설에 대한 믿음을 저버렸고, 의료계 종사자들은 사기가 바닥으로 떨어져 의료 활동 재개를 두려워하고 있다”면서 “가족을 잃은 마을 사람들은 위축돼 있고 의심도 많아졌다”고 적고 있다.

또한 가장 피해가 심한 세 국가인 기니,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에서는 지난 한 해 동안 500명에 가까운 의료진이 목숨을 잃었다. 이는 에볼라 위기가 오기 전에도 이미 의료진 부족이 심각했던 곳에 설상가상으로 불어 닥친 재앙이었다. 이 지역에서 공중보건 체계를 정상화하는 첫 번째 단계로서 의료 혜택 접근성을 시급히 회복해야 할 상황이다.

보고서는 결론에서 “이번 에볼라 확산으로 국제사회의 실패가 낱낱이 드러났으며, 그 대가로 수천 명이 목숨을 잃었다”며 “에볼라 창궐은 개발도상국의 취약한 공중보건 체계에서부터 국제 구호의 마비와 늑장 대응에 이르는 교훈을 줬으며 이번에 얻은 교훈은 모두가 깊이 새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경없는의사회

국경없는의사회(Medecins Sans Frontieres, Doctors Without Borders)는 세계 70개 이상의 나라에서 분쟁, 전염병, 영양실조, 자연재해로 고통 받거나 사회적으로 소외된 사람들을 위해 긴급 구호를 하는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 단체다. 1971년 의사와 기자가 참여해 설립했다. 현재 세계 28개국에 사무소를 두고 있는 국제단체다. 한국 사무소는 2012년에 문을 열었다. 국경없는의사회는 오랫동안 펼친 인도주의 의료 활동을 인정받아 1996년에는 서울평화상을, 1999년에는 노벨평화상을 받았다.

1432791086_ygy4xe36cg_hCro7GU5_MSF142886 1432860602_a0do4d7ctr_hoSLAePw_MSF146017_Medium 1434009787_yzrhf2f1qq_iGjV83lH_MSF147803_Medium 1434074714_i3q39b5xtu_dImsRLKZ_MSF146950 20120712100055_8650 bbuheng201208032027422 MSF116103_Francois_Talla *** Local Caption *** Refugees fleeing conflict and food insecurity in the Nuba Mountains - Sudanese region of South Kordofan -face insufficient levels of assistance in Yida camp. Around 1000 refugees arrive every day to Yida camp just south of the Sudanese border in Unity State. Around 50,000 people living in the camp are in urgent need of international assistance, they face shortages of accessible water and adequate shelter and sanitation. MSF provides 300 consultations per week and admitts an average of 120 patients in its hospital.

About 김종영™ (938 Articles)
사람과사회 발행인이자 편집장이다. ‘글은 사람과 사회며, 좋은 비판은 세상을 바꾼다’는 말을 좋아한다. weeklypeople@gmail.com

1 Comment on “죽음의 눈물은 끝나지 않았다!”

  1. 조앤 리우 국경없는의사회 국제회장이 <포춘>이 매년 발표하는 ‘세계 최고의 지도자 50인'(Fortune’s World’s Greatest Leaders: 50 intrepid guides for a messy world) 중 7위에 올랐다.
    포춘이 정리한 선정 이유는 아래와 같다.

    캐나다인 의사인 조앤 리우는 모리타니로 넘어온 말리 난민들을 돌보는 구호 현장으로 첫 파견을 나간 1996년부터 국경없는의사회와 함께 하고 있다. 그 이후 인도네시아 쓰나미, 아이티 지진 피해 현장부터 소말리아, 콩고, 수단 다르푸르 등 여러 지역의 난민과 성폭력 피해자들을 돌보는 구호 현장으로 총 4개 대륙, 20차례 이상 파견되었다. 그러던 2013년 10월 리우 박사는 국경없는의사회 국제회장으로 선출되어 더 큰 책임을 맡게 되었는데, 서아프리카에서 첫 번째 에볼라 환자가 나오기 불과 2달 전이었다. 그 뒤로 역사상 최악이자 가장 넓은 지역으로 확산된 에볼라 창궐이 시작되었다. 리우 박사와 국경없는의사회는 조금의 망설임도 없이 행동에 나섰다. 리우 박사는 발병지 한가운데 진료소를 세운 국경없는의사회의 빠르고 적극적인 에볼라 대응을 주도했고, 또한 아프리카의 지도자들과 세계의 공공 보건 담당자들이 에볼라 진압에 나서도록 강력히 촉구했다. 그 압력은 효과가 있었고, 적어도 현재는 감염 확산이 잦아든 상태다.

    포춘 조안 리우(Joanne Liu)
    포춘 선정 ‘세계 최고의 지도자 50인’
    ‘2015 세계 최고의 지도자 50인’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