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흐는 자살하지 않았다?
“세상을 피하는 데 예술보다 확실한 길은 없다. 또 세상과 관련을 맺는 데도 예술처럼 적당한 길은 없다”
반 고흐는 자살하지 않았다?
-화가의 마지막 그림에 얽힌 놀라운 이야기
-잘 죽기 위해 잘 살아야 한다는 아이러니
-그림이 일러준 삶의 매서운 진실
화가의 마지막 그림
삶의 마지막 순간, 손끝에서 피어난 한 점의 그림
이유리 저 | 서해문집
화가가 생을 마감하기 전 최후로 남긴 작품이라 하면 으레 비장감과 비극성 혹은 무력감과 덧없음이 깃들어 있을 것이라 짐작하기 쉽다. 실제로 책에서 다룬 19인의 예술가들이 감내해야 했던 고통은 상상을 초월했다. 하지만 놀랍게도 그 비극 속에서 화가들이 길어올린 작품에는 생에 대한 에너지와 열망, 끝끝내 놓을 수 없었던 희망과 염원의 메시지가 가득했다. 또한 일반에 널리 알려진 내용과 전혀 다른 놀라운 반전도 있었다.
반 고흐의 진짜 유작 ‘나무뿌리’가 말해주는, 반 고흐 죽음의 진실
많은 이들이 반 고흐가 마지막으로 그린 작품이라 믿는 [까마귀가 나는 밀밭]은 고흐의 진짜 유작이 아니다. 그는 [까마귀가 나는 밀밭]을 완성한 뒤에도 그림을 더 그렸다. 죽음 직전에 시작했으나 완성하지 못한 [나무뿌리]가 바로 그것. 고흐의 동생 테오의 큰처남이 남긴 편지에는 고흐가 마지막까지 그리고 있던 그림에 대해 “죽기 전 그는 나무 덤불을 그렸다. 햇빛과 생명으로 가득한”이라고 언급돼 있다. 실제로 이 그림은 채색이 덜 되어 스케치가 그대로 보이는데, 한번 잡은 작품은 끝을 내고야 마는 고흐에겐 이례적인 일이다. 채 완성하지 못한 이 그림은, 고흐의 죽음이 알려진 대로 ‘자살’이 아니라 ‘타살’이었다는 데 무게를 싣는다. 고흐에게 총상을 입힌 용의자인 10대 소년 세크레탕과 고흐의 악연. 자살로 오해받은 총상 사건의 전말이 네덜란드 반 고흐 미술관의 두 연구사, 노스캐롤라이나대학 교수, 하버드대학 교수, 미국 내 총상 분야 최고전문가의 생생한 증언과 논쟁으로 펼쳐진다.
이중섭, 잔 에뷔테른, 에곤 실레… 운명의 거친 옹이에 사랑을 맡기다
운명의 거친 옹이는 수줍던 연인들을 비극으로 물들여 애달픈 유작을 남기기도 했다. 올해로 탄생 100주년을 맞은 화가 이중섭, 그는 일제강점기에 야마모토 마사코와 국적을 뛰어넘는 열병 같은 사랑에 빠졌다. 가난 때문에 헤어진 연인을 그리며, 중섭은 그 유명한 ‘중섭의 편지’를 남기기도 했다. 허나 척박한 현실은 재회의 희망마저 꺾었고, 그렇게 살아갈 이유를 잃은 이중섭은 연작 [돌아오지 않는 강]을 마지막으로 남긴 채, 그 스스로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넜다. 사랑하는 모딜리아니가 결핵으로 끝내 숨지자 9개월 된 뱃속 아이와 함께 몸을 던져 생을 마감한 잔 에뷔테른, 아내와 아이를 스페인독감으로 잃은 후 장례식 화환이 채 시들기도 전에 그들 뒤를 따라야 했던 에곤 실레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이들이 비극 속에서 보여준 능동적인 사랑의 방식은 우리에게 ‘어떻게 사랑할 것인가’라는 사뭇 진지한 질문을 던진다.
바스키아, 마크 로스코… 마지막 그림이 예언의 메시지가 된 화가들
거리의 낙서화가로 출발해 부와 명성을 쌓고 ‘검은 피카소’라 불리었던 바스키아는 의미심장하게 [죽음과의 합승]이란 작품을 마지막으로 그린 후 자신의 주택에서 환풍기 앞에 기댄 채 숨졌다. 사인은 약물남용으로 인한 질식사. 그의 나이 불과 28세였다. 아프리카에서 새 삶을 살겠단 포부를 다진 바스키아였지만, 그가 남긴 마지막 유작에는 자신과 똑 닮은 인물이 해골에 올라타 죽음의 고삐를 당기고 있었다. 죽음이 임박했다는 섬뜩한 예언의 메시지로도 읽히는 이 그림에는 서구사회에서 백인에게 ‘발견’되고, 백인에게 ‘소진’된 바스키아의 피로했던 삶이 아프게 묻어난다. 바스키아 사망 후 그가 남긴 그림들은 시간이 흐를수록 제도권 시장에서 인기몰이를 했다. 이는 자신의 작업실에서 손목을 긋고 자살한 마크 로스코도 마찬가지다. 마크 로스코 역시 작업실을 물들인 붉은 피를 연상시키는 새빨간 채색화를 유작으로 남겼다. 그림으로 죽음을 예언한 이들의 삶은 참혹했지만, 화가의 삶이 참혹할수록 사후에 성공을 거둘 확률이 더 높아진다는 미술계의 얄궂은 속설을 이들은 자신의 생과 작품으로 증명하고 말았다.
카라바조, 렘브란트… 화려한 성공, 뜻밖의 최후
창녀를 성모마리아의 모델로, 거지와 평범한 속인을 성인의 모델로 그린 파격의 화가, 하지만 일상적 오브제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할 줄 아는 천재적 재능으로 ‘로마 최고의 화가’라 칭송받은 카라바조. 안타깝게도 그는 화실 밖에서는 광기에 휩싸인 폭군이었고, 끝내 살인을 저질러 사형선고를 받은 채 추방되었다. 그의 마지막 그림 [골리앗의 머리를 든 다윗]에는 자신을 향한 동정과 경멸, 그 복잡한 심사가 담겨 있다. 단시간에 성공한 화가의 반열에 올라 남부러울 것 없었던 렘브란트 역시 카라바조의 전철을 밟았다. 그가 죽기 전 남긴 마지막 작품 [돌아온 탕자]에는 시작과 끝이 달랐던 그의 지난한 운명이 그대로 응축되어 있다. 허영과 낭비벽, 방탕한 스캔들로 인해 빚만 잔뜩 진 채 파산한 렘브란트는 결국 이름 하나 새긴 비석조차 갖지 못했다. 뜻밖에도 그가 죽기 전 남긴 마지막 그림 속에는 마치 예수처럼 인자하게 아들을 감싸는 아버지가 등장한다. 그림 속 탕자가 렘브란트 자신이라면, 그는 무엇을 용서받고 싶었던 걸까. 삶의 불가해를 착잡함으로 맞바꾸는 이 그림들은 우리에게 또 한번 ‘산다는 것’을 고민하게 한다.
마지막 그림의 이해와 이유의 묶음
이외에도 시시각각 죄어오는 나치의 수색에 숨이 막힐 것 같은 상황에서도 여전히 ‘나는 살아있다’는 증거의 표시로 붓을 놓지 않은 유대인 화가 펠릭스 누스바움, 생때같은 아들과 손자를 연달아 전쟁터에서 잃은 후 ‘전쟁 반대’ 메시지를 새긴 작품을 줄기차게 생산한 케테 콜비츠, 세상이 반대한 사랑을 했다는 아픔을 기어이 숭고한 작품으로 승화시킨 미켈란젤로 등 다채로운 이야기가 가득하다.
어쩌면 19인의 예술가들은 하나뿐인 마지막 유작을 남기기 위해 전 생애를 거치며 치열한 준비를 한 셈인지도 모른다. 그래서 ‘자신의 묘비명’과도 같았던 예술가들의 마지막 작품을 살피는 것은 우리에게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죽음을 비껴갈 수 없는 우리가 어떤 마음가짐으로 살아야 하는지, 화가의 마지막 그림만큼 잘 알려주는 것도 없기 때문이다.
화가들이 남긴 마지막 그림을 통해 우리는 사랑해야 하는 이유, 체념해야 하는 이유, 기꺼이 용서해야 하는 이유, 비록 어긋났다 하더라도 최선을 다해 삶을 되돌려야 하는 이유를 깨달을 수 있다. 이 이유들이 모일 때, 때로는 결별하고 싶은 이 고단한 생을, 화가 프리다 칼로가 그랬던 것처럼 끝까지 완주할 수 있는 용기를 손에 쥘 것이다. 매일매일이 막연하더라도 최선을 다해 살아가야만 잘 죽을 수 있다는 아이러니, 아니 삶의 매서운 진실이 화가의 마지막 그림 안에 있는 것이다. 그러니 사는 게 쉽지 않을 때 잠시 멈춰 서서 이 책을 펼쳐봐도 좋다. 우리보다 앞서 치열하게 살다 간 화가들의 진심이, 인생의 의미를 풍부하게 성찰할 수 있는 그림이 말을 걸어올 테니 말이다.
이유리
어릴 적부터 미술 교과서나 신문에서 마음에 드는 그림들을 오려내어 스크랩하던 소녀였다. 영어 공부를 하러 간 영국에서, 영어 공부 대신 런던에 있는 갤러리란 갤러리는 모조리 훑고 다녔고 결국 영어 대신 머릿속에 방대한 미술지식을 안고서 돌아왔다.
서강대학교 사학과 졸업, 경인일보 사회부를 거쳐 현재 미술 분야를 중심으로 한, 글쟁이의 삶을 살게 되었다.
괴테는 이야기했다. “세상을 피하는 데 예술보다 확실한 길은 없다. 또 세상과 관련을 맺는 데도 예술처럼 적당한 길은 없다”고. 괴테의 말에 동감하며 ‘예술작품’이라는 프리즘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책으로 《검은 미술관》, 《세상을 바꾼 예술작품들》, 《국가의 거짓말》이 있다.
Leave a comment
You must be logged in to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