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그리고 풍경과 치유 사진이 ‘풍경’과 ‘치유’와 만나는 전시회가 열린다. 미국에서 활동하는 사진가 유승호 작가가 ‘당신을 위한 치유의 [...] 2019-07-11 // 0 Comments
“틈새와 여백에 예술이 있다” 김동순 선생은 춤꾼이다. 국가무형문화재 제97호인 살풀이춤을 춘다. 살풀이춤은 지난 1990년 10월 10일 지정한 무형문화재(문화재청 [...] 2019-02-08 // 0 Comments
“흐르지 않는 예술은 썩는다” 하나의 희망은 현대미술을 추구한다는 자부심이었다. 그때도 알루미늄 호일로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을 시기였다. 현대미술은 [...] 2019-02-08 // 0 Comments
“韓中이 함께 가겠습니다” 사단법인 한중문예진흥원(이사장 김동신 다우케이아이디 대표)이 2019년 신년회와 사무실 개소식을 개최하고 2019년에도 한중 간 [...] 2019-01-25 // 0 Comments
“선물 사듯 작품 살래요?” 작가 70명, 작품 300여 점을 판매하는 선물전인 ‘소담한 선물전’이 관심을 받고 있다. ‘소담한 선물전’은 2018년 12월 29일부터 [...] 2019-01-08 // 0 Comments
동·서 현악, 시대를 넘나들다 첫째 주제는 고려시대의 고려가요를 복원하여 현대적인 기악합주곡과 성악곡으로 재구성 하였으며, 둘째 주제는 재즈를 한국 [...] 2018-09-27 // 0 Comments
“내 곁을 떠날 때 어떤 기분이었나?” 그 날. 당신 내 곁을 떠날 때 어떤 기분이었나. 가슴에 품고 있던 여러 가지 묘한 감정들이 뒤섞여 미움보다 그리움이 많았음을 [...] 2018-08-02 // 0 Comments
남북한 작가 미술 작품 ‘첫 공개’ 남북작가전은 2018년 7월 26일(목)부터 8월 12일(일)까지 진행하며, 참여 작가는 장우성, 강정님, 황영준, 한태순, 리률선, 박은지 [...] 2018-07-23 // 0 Comments
미술인과 협동조합, ‘손잡다’ 미술인과 문화예술을 담당하는 협동조합이 손을 마주 잡았다. 광명예술협동조합은 예술 작품의 사회적 환원과 저작권 등을 이용한 [...] 2018-06-19 // 0 Comments
제10회 이탈리아영화제 제10회 이탈리아영화제(IFAF, Italian Film & Art Festival), 사진=이탈치네마 제10회 이탈리아영화제 IFAF, Italian Film & Art Festival [...] 2018-05-02 // 1 Comment
디바 5명, 부산에서 호흡하다 이번 콘서트에는 부산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다섯 명의 디바 소프라노 김유진, 양근화, 한인숙, 정혜리, 김아름과 피아니스트 [...] 2018-04-24 // 0 Comments
‘좋은 作家·作品’을 응원합니다 001 사람과사회는 ‘좋은 作家™, 좋은 作品™’을 위한 ‘마당 넓은 집’이 되고자 합니다. 작가와 작품을 여러 사람에게 [...] 2018-04-03 // 0 Comments
꽃이 전하는 말 중국 유명 미술 작품을 볼 수 있는 전시회가 열린다. 동북아공동체연구재단(이사장 이승률)은 ‘꽃이 전하는 말’이라는 주제로 [...] 2018-04-01 // 0 Comments
‘사람’과 ‘나무’가 만나다 이흥렬 작가는 오랫동안 나무를 소재로 ‘푸른 나무’ 시리즈, ‘숲’ 시리즈, ‘꿈꾸는 나무’ 시리즈 등 다양한 해석을 담은 [...] 2018-03-15 // 0 Comments
평창에 부는 평화·소통 바람 행사는 크게 3월 9일부터 시작한 캠페인과 3월 15일~17일 진행되는 아트캠프로 나뉜다. 캠페인은 ‘DMZ 아트페스트 2018’이 담고 있는 [...] 2018-03-13 // 0 Comments
박서영 시인 별세 박서영 시인은 “좋은 시는 남과 다른 시여야 한다”며 자신만의 언어를 찾아 나서는 작업으로 주목을 받았다. 박 시인이 시에 [...] 2018-02-06 // 0 Comments
연극 ‘쥐덫’을 보는 즐거움 연극 ‘쥐덫'(The Mousetrap)은 1947년 BBC 라디오가 영국 왕대비인 테크의 메리(Mary of Teck) 80세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라디오 드라마로 [...] 2018-02-05 // 2 Comments
獻花歌, 獻火歌 되다 파이어 아트 2014 정선국제불조각축제 출품 작품. 사진=평창문화올림픽추진단 파이어 아트 2017 부산바다미술제 출품 작품. [...] 2018-01-11 // 0 Comments
Calligraphy, ‘사람과사회’ Calligraphy, 『사람과사회』를 만나다 캘리그래피(Calligraphy)로 『사람과사회』를 보면 어떤 느낌일까요? 캘리그래퍼(Calligrapher)인 [...] 2018-01-04 // 0 Comments
글과 글씨와 哲學 글씨, 그리고 생각을 위한 숨 고르기 글과 글씨는 철학(哲學)을 품고 있습니다. 그래서 글과 글씨는 잠시 쉼을 줍니다. 생각을 [...] 2017-12-31 // 0 Comments
‘의자’와 ‘쉼’ 에세이와 사진으로 삶을 읽고 보다 에세이와 사진을 함께 읽고 보면 어떤 기분일까. 상담심리사, 사진가, 영어 동시통역사로 [...] 2017-12-29 // 0 Comments
“우리는 PIE로 배워요!” 사진전은 한국사진활용교육(PIE)협회(회장 김종덕)가 사진활용교육(PIE, Photo in Education)으로 진행한 행사다. PIE 수업은 PIE 지도 [...] 2017-12-23 // 0 Comments
“저 달은 누가 움직였지?” 정유림 큐레이터는 “그에게 있어 달은 미치도록 보고 싶은 누군가에 대한 사무치는 그리움도 아니었고 그것으로 인한 슬픔을 [...] 2017-11-22 // 0 Comments
11월 22일은 김치의 날 김치협회 선언문에 따르면 김치의 날(11월 22일)은 이맘때가 김장 준비의 적기로 무, 배추 등 다양한 김치 소재 하나 하나(11월)가 [...] 2017-11-22 // 0 Comments
붉은 새는 숲을 떠난다 천승세 시인의 본관은 영양(穎陽), 호는 하동(河童)이며, 1939년 전라남도 목포에서 천독근(千篤根)과 소설가 박화성(朴花城)의 둘째 [...] 2017-11-18 //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