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과사회™ 뉴스

咸錫憲記念館 ‘눈앞’

도봉구, 타계 전 7년 거주한 쌍문동 집 리모델링해 기념관 건립...전시 외 세미나실·도서열람실·쉼터 등 복합문화공간 갖춘 곳으로 구성

함석헌 선생은 1901년 평북 용천군에서 태어났다. 험난한 근·현대의 격동기 시대를 겪으면서 독립운동, 민주화운동, 인권운동 등에 헌신한 삶을 살았다. 기념관은 점점 잊고 있는 선생의 뜻을 기리기 위해 건립 사업을 시작했다. ‘뜻으로 본 한국 역사’가 대표적인 책이다.
함석헌(咸錫憲, 1901.03.13~1989.02.04)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종교인, 언론인, 출판인이자 기독교운동가, 시민사회운동가였다. 광복 이후에는 비폭력 인권 운동을 전개한 민권운동가이자 언론인, 재야운동가, 문필가로 활동했다. 본관은 강릉(江陵)이며, 호는 신천(信天), 씨알, 바보새 등이 있다. 사진=위키백과

함석헌(咸錫憲, 1901.03.13~1989.02.04)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종교인, 언론인, 출판인이자 기독교운동가, 시민사회운동가였다. 광복 이후에는 비폭력 인권 운동을 전개한 민권운동가이자 언론인, 재야운동가, 문필가로 활동했다. 본관은 강릉(江陵)이며, 호는 신천(信天), 씨알, 바보새 등이 있다. 사진=위키백과

도봉구, 타계 전 7년 거주한 쌍문동 집 리모델링해 기념관 건립
전시 외 세미나실·도서열람실·쉼터 등 복합문화공간 갖춘 곳으로 구성
둘리뮤지엄·김수영문학관·전형필가옥 등 ‘역사문화관광벨트’ 활용

도봉구(구청장 이동진)가 2011년부터 추진한 함석헌기념관이 완공을 목전에 두고 있다.

함석헌기념관은 ‘한국의 간디’라고 부른 대표적인 인권운동가인 함석헌 선생이 타계 전 7년 동안 거주했던 서울시 도봉구 쌍문동 집을 새로 고쳐 만들었다. 기념관은 가옥 원형을 최대한 보전하면서 주민을 위한 다양한 공간을 마련한 게 특징이다.

함석헌 선생은 1901년 평북 용천군에서 태어났다. 험난한 근·현대의 격동기 시대를 겪으면서 독립운동, 민주화운동, 인권운동 등에 헌신한 삶을 살았다. 기념관은 점점 잊고 있는 선생의 뜻을 기리기 위해 건립 사업을 시작했다. ‘뜻으로 본 한국 역사’가 대표적인 책이다.

함석헌기념관은 사업 초창기에는 부족한 예산과 구의회와의 갈등, 유족 및 기념사업회 협의 부분 등 기념관 건립 추진이 쉽지는 않았다.

하지만 2013년 주민참여 예산 사업으로 선정돼 서울시에서 예산을 지원받고 유족과 함석헌기념사업회와도 수차례 협의를 거쳐 건립 사업을 추진할 수 있었다.

이후 2013년 사업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용역을 거쳐 2014년 9월 구조 변경 공사 착공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기념관을 건립하기 시작했다.

2015년 4월 현재 전시 시설 설치를 위한 콘텐츠 선정 작업을 하고 있다. 또한 도록 발간, 안내표지판 설치, 홈페이지 제작 등 개관에 따른 대부분의 준비 작업도 마무리 단계다.

이동진 구청장은 “함석헌기념관은 전시만을 하는 장소가 아닌 주민들을 위한 특화된 공간으로 세미나실, 도서열람실, 유리로 만든 온실을 활용한 쉼터 공간을 조성해 복합문화공간으로의 면모를 갖추는 한편 기념관에 게스트하우스 기능도 추가해 운영할 계획”이라며 “주민들을 위해 작지만 알찬 기념관이 건립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도봉구는 함석헌기념관을 완공하면 둘리뮤지엄, 김수영문학관, 전형필가옥과 함께 ‘역사문화관광벨트조성사업’의 중요 자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함석헌
함석헌(咸錫憲, 1901.03.13~1989.02.04)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종교인, 언론인, 출판인이자 기독교운동가, 시민사회운동가였다. 광복 이후에는 비폭력 인권 운동을 전개한 민권운동가이자 언론인, 재야운동가, 문필가로 활동했다. 본관은 강릉(江陵)이며, 호는 신천(信天), 씨알, 바보새 등이 있다.

About 김종영™ (915 Articles)
사람과사회 발행인이자 편집장이다. ‘글은 사람과 사회며, 좋은 비판은 세상을 바꾼다’는 말을 좋아한다. weeklypeople@gmail.com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