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과사회™ 뉴스

한중일 국경 간 M&A ‘10년 동안 4배 증가’

현대경제연구원, ‘지난 10년간 한중일 국경 간 M&A 특징과 시사점’ 발표

사진=Lange Corporate Finance GmbH

금융위기 이후 일본·중국 기업의 인수합병(M&A) 유형이 빠르게 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은 30일 발표한 ‘VIP 리포트’인 ‘지난 10년간 한중일 국경 간 M&A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최근 세계 M&A 중 한중일의 국경 간 M&A가 지속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수출에 해당하는 아웃바운드(Outbound)를 기준으로 볼 때, 한중일 국경 간 M&A 규모는 2005~2014년 10년 간 연평균 약 16%씩 증가했다. 세계 국경 간 M&A 중 비중도 같은 기간 동안 2.4%에서 9.3%로 증가하는 등 지난 10년 동안 약 4배 증가하고 있다.

한중일 국경 간 M&A의 특징은 ‘빠름’과 ‘대규모’

한중일 M&A 분석은 2005년부터 2014년까지 10년간 제조업, 서비스업 등 전체 6개 업종에 대해 아웃바운드를 기준으로 국경 간 M&A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나타냈다.

첫째, 대규모 M&A 건수가 발생하는 등 대규모화가 진행되고 있다.

중국은 1건 당 국경 간 M&A 규모가 2005년 7,300만 달러에서 2014년 1억 6,000만 달러로 지속 증가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2010년 이후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대규모 M&A 건수는 2005~2014년 중국과 일본이 50억 달러 이상의 국경 간 M&A 건수가 각각 5건, 13건으로 대규모 M&A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10억 달러 이상의 국경 간 M&A가 전체의 약 2%에 불과한 상태다.

둘째, 미주 및 유럽 등 대 선진지역 M&A가 확대되고 있다.

한국과 중국은 2005~2008년 아시아 중심에서 ‘2010~2014년 북미 및 유렵 중심으로 국경 간 M&A가 확대되고 있으며, 일본은 지난 10년간 북미를 중심으로 국경 간 M&A가 더욱 강화되고 있다.

지역별 인수대상 산업군을 살펴보면, 한국은 유럽·북미 지역에 대해 제조업에서 에너지 부문으로 인수 분야가 이동했고, 중국과 일본은 전반적으로 서비스업 중심으로 인수합병을 진행하고 있다.

셋째, M&A 대상 산업의 고도화도 이뤄지고 있다.

한국과 일본은 서비스업의 국경 간 M&A 비중이 2005~2008년 각각 평균 33.5%, 42.6%에서 2010~2014년 평균 40.7%, 46.5%로 증가하고 있다.

반면 중국은 같은 기준 최근 자원 확보 및 기술경쟁력 강화로 에너지와 제조업이 각각 평균 31.4%, 11.7%에서 35.1%, 17.1%로 증가했다.

넷째, 업종별로는 이종 간 M&A가 확대되고 있다.

한국과 일본은 이종 산업의 국경 간 M&A 비중이 2005~2008년 각각 평균 32.7%, 15.5%에서 2010~2014년 각각 평균 39.6%, 21.9%로 증가하고 있다. 중국도 같은 기준 평균 16.6%에서 평균 35.2%로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은 제조업이 서비스업을, 중국과 일본은 서비스업이 제조업을 M&A 하는 등 이종교배가 확대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다섯째, 고기술 중심으로 M&A가 가속되고 있다.

하이테크 기술 분야 중 고기술과 중고기술 분야로 구분할 때, 한국과 일본은 전체 하이테크 분야의 국경 간 M&A 중 고기술 분야 비중이 2005~2008년 평균 각각 17%, 74%에서 2010~2014년 평균 각각 63%, 81%로 증가했다. 중국도 동기간 25%에서 30%로 소폭 증가했다.

한편, 상위 5대 하이테크 산업별로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은 전자 산업이 2005~2008년 평균 1.8%에서 2010~2014년 평균 약 27%로 급증했다. 중국은 자동차 산업이 같은 기간 9.7%에서 20.5%로, 일본은 제약 부분이 평균 약 25%에서 43%로 가장 빠르게 증가했다.

“중·일 기업의 빠른 M&A 유형 대처 방안 모색해야”

현대경제연구원은 이번 보고서와 관련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일본과 중국 기업의 M&A 유형이 빠르게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는 만큼 기회와 위협 요인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기술, 브랜드, 유통망, 경영 노하우 등을 통한 역량강화型 M&A 추진 △정부와 민간의 통합 M&A 지원 시스템 구축뿐 아니라 세제 지원 및 불필요한 제도 개선책 마련 △혁신형 융복합 산업, 신성장 산업 등 중장기적 산업고도화 전략에 맞게 M&A 전략 모색 △무분별한 M&A로 기업뿐 아니라 국가경제를 저해하지 않도록 사전 리스크 점검 필요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About 김종영™ (915 Articles)
사람과사회 발행인이자 편집장이다. ‘글은 사람과 사회며, 좋은 비판은 세상을 바꾼다’는 말을 좋아한다. weeklypeople@gmail.com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