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과사회™ 뉴스

한글은 쉽고 한국어는 어렵다?

“언어 표현 능력으로서의 기본이 제대로 돼 있느냐의 문제는 이와 별개다. 그런 까닭에 한글은 쉽지만 한국어는 어렵다는 명제에 공감하고 동감하기 어렵다.”

사상사(思想史)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주자학(朱子學)이라 부르는 성리학(性理學)을 생각해봐야 한다. 성리학은 중화사상(中華思想, Sinocentrism)이고 (화이분별(華夷分別) 또는 화이분별론(華夷分別論)에 따라 우리를 오랑캐로 본다. 오랑캐를 면하려면 중국 문화를 모방해야 한다. 즉, 모화(慕華)가 문화의 이념이었다. 글자에서도 중국을 따라야 한다. 독자적인 문자는 오랑캐의 상징이다. (우리말을 차별하고 천대하는 구조화를 낳게 한 것이다.) 이는 한글 반대파인 최만리 등이 상소문에서 ‘중국과 같은 글자를 써야 한다’는 뜻으로 쓴 ‘동문(同文)’에서도 나타난다. 당시 일본, 여진, 서하(西夏), 토번(吐蕃) 등은 고유 문자를 사용했는데 최만리는 이를 두고 문화 민족인 우리는 이들과 같을 수 없다고 했다. 한글 반대파 입장에서는 한자를 쓰지 않으니 모두 오랑캐다. 그런데 우리가 왜 오랑캐 문자(언어)를 만들어 쓰려 하느냐는 게 이들의 논리다. 그러면서 여자, 어린 아이가 보는 게 언문(言文)이라고 폄하했다. 반면 한문은 성현의 권위 있는 문자(언어)로 인식했다. 중세 유럽의 공동 언어가 라틴어에 뿌리를 두고 있듯이 한문은 공통어이고 신성한 문자라고 생각했다. 한문이 언어의 뿌리이고 독점적인 언어라고 인식했다. 그래서 한글을 창제했지만 공문서에 한글은 쓰지 않고 오로지 한자만 사용했다. 한글을 외면했다.
언어 표현에서 문화를 담아 표현하는 것을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런 만큼 이해하기도 어려운 것이 언어와 문화의 만남이다. 하지만 언어 표현 능력으로서의 기본에 제대로 돼 있느냐의 문제는 이와 별개다. 그런 까닭에 한글은 쉽지만 한국어는 어렵다는 명제에 공감하고 동감하기 어렵다.

언어 표현에서 문화를 담아 표현하는 것을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런 만큼 이해하기도 어려운 것이 언어와 문화의 만남이다. 하지만 언어 표현 능력으로서의 기본에 제대로 돼 있느냐의 문제는 이와 별개다. 그런 까닭에 한글은 쉽지만 한국어는 어렵다는 명제에 공감하고 동감하기 어렵다.

개인적으로 한글은 쉬운 언어다. 세종이 만든 언어, 한글은 세상에서 가장 쉬운 언어 중 하나로 손꼽아도 지나친 게 아니다. 마찬가지로 한국어도 쉽다. 언어로서의 한글과 한국어를 제대로 배우고 가르치는 것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그러기에 학습의 어려움에 원인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으로 볼 수 없다. 그렇지 않다면, ‘한글은 어렵고 한국어도 어렵다’는 말에서 벗어나기 어렵거나 벗어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숱한 한글과 한국어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의 ‘문맹(文盲)’을 극복(?)했으면서도 글을 읽고 쓰기로서의 ‘글맹’도 마찬가지다.

개인적으로 한글은 쉬운 언어다. 세종이 만든 언어, 한글은 세상에서 가장 쉬운 언어 중 하나로 손꼽아도 지나친 게 아니다. 마찬가지로 한국어도 쉽다. 언어로서의 한글과 한국어를 제대로 배우고 가르치는 것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그러기에 학습의 어려움에 원인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으로 볼 수 없다. 그렇지 않다면, ‘한글은 어렵고 한국어도 어렵다’는 말에서 벗어나기 어렵거나 벗어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숱한 한글과 한국어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의 ‘문맹(文盲)’을 극복(?)했으면서도 글을 읽고 쓰기로서의 ‘글맹’도 마찬가지다.

칼럼 ‘슬픈 모국어’ 를 읽고 떠오른 생각을 적어본다.

‘한글은 쉽지만 한국어는 어렵다’는 첫 문장과 글 제목을 보니 답답하다.

한국어가 어렵다는 것을 포함해 한국어 및 한글 사용 등 언어의 문제와 문화와 언어를 통한 표현 방식 등 한국어(한글)에 대한 쓰고 말하고 생각하고 듣기의 문제가 언어와 교육과 문화가 어울림을 갖지 못해 생기는 현상이다.

학교에서 읽기와 쓰기를 ‘제대로 가르치고 제대로 배우기’를 하지 못하는 점은 1차적인 문제다. 또한 신문, 잡지, 방송, 가정, 사회, 직장 등에서 아무런 문제 의식도 없이 뒤죽박죽으로 한국어와 한글을 쓰면서 생긴 ‘제대로 사용하기’가 안 된다는 점은 2차적인 문제다. 특히 문자언어의 폐단은 상상을 초월할 만큼 악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 같은 폐단의 중심에 신문과 잡지, 그리고 일상에서 쓰는 여러 가지 글이 있다. 한국의 한국어 및 한글 교육은 사실상 한국어와 한글을 죽이는 데 가장 큰 일등공신이다. 이는 피할 수 없는 사실이다. 심각하다는 사실조차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언어 표현에서 문화를 담아 표현하는 것을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런 만큼 이해하기도 어려운 것이 언어와 문화의 만남이다. 하지만 언어 표현 능력으로서의 기본이 제대로 돼 있느냐의 문제는 이와 별개다.

그런 까닭에 한글은 쉽지만 한국어는 어렵다는 명제에 공감하고 동감하기 어렵다. 한글이 쉽다면 한국어도 쉽다. 한국어를 제대로 표현하려면 언어의 기본과 문화를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자세히 읽고 쓰는 언어로서의 한글과 한국어와 철학적 사유의 문화를 담은 언어 사용은 ‘차이’와 ‘다름’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이 같은 현상을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이 점은 무척 중요하다.

개인적으로 한글은 쉬운 언어다. 세종이 만든 언어, 한글은 세상에서 가장 쉬운 언어 중 하나로 손꼽아도 지나친 게 아니다. 마찬가지로 한국어도 쉽다. 언어로서의 한글과 한국어를 제대로 배우고 가르치는 것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그러기에 학습의 어려움에 원인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으로 볼 수 없다.

그렇지 않다면, ‘한글은 어렵고 한국어도 어렵다’는 말에서 벗어나기 어렵거나 벗어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숱한 한글과 한국어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의 ‘문맹(文盲)’을 극복(?)했으면서도 글을 읽고 쓰기로서의 ‘글맹’도 마찬가지다.

About 김종영™ (940 Articles)
사람과사회 발행인이자 편집장이다. ‘글은 사람과 사회며, 좋은 비판은 세상을 바꾼다’는 말을 좋아한다. weeklypeople@gmail.com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