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당선인에게 바란다 조 바이든 제46대 대통령 당선인에게 바란다 곽태환 전 통일연구원 원장, 경남대 초빙 석좌교수 조 바이든(Joe Biden) 46대 미국 대통령 [...] 2020-11-09 // 1 Comment
박정수 05 여성 작가에 주목하라 사람과사회™ 2019 겨울 제3권 제4호 통권 제12호 ISSN 2635-876X 94 연재 박정수, 『나는 주식보다 미술투자가 좋다』 005 [...] 2020-11-06 // 0 Comments
“공감하는 자유행정 펼칠 것” 성장현 용산구청장이 세계자유민주연맹(WLFD) 자유장(Freedom Award)을 수상했다. 한국자유총연맹 서울시지부는 용산의 다양성을 [...] 2020-09-28 // 0 Comments
“모니터링·제어 통합시스템 필요” 김영두 (주)덕원환경산업기술 대표는 “덕원환경산업기술은 종합 환경 엔지니어링 분야로 성장하기 위해 쉬지 않고 연구와 노력을 [...] 2020-04-14 // 0 Comments
기존 공식 깨고 새 치료법을 찾다 치아 치료의 원칙은 건강이다. 건강을 목적으로, 그러니까 잃어버린 에나멜을 채워주는, 건강을 회복함과 동시에 치아에 손상을 [...] 2020-03-17 // 0 Comments
“무릎 꿇어줄 어머니도 없는 우리는 어디로 가야 하나요?” 부디 대통령님께서 북한에서 탈북하여 우리 국민이 된 어린 탈북청소년들을 위하여 은평구의 학교와 편익시설을 지원해 주시기 [...] 2019-12-07 // 0 Comments
“나는 남북경제협력 기업가 최원호다” 최원호 대표가 지난 12년 동안 어떻게 살아왔는지 이야기를 듣는 것은 그 어떤 이야기보다 듣기 힘겨웠다. 건물을 날리고, 집을 [...] 2019-09-10 // 0 Comments
“공인인증서는 4차혁명 핵심” “5G 시대에 생체 인증을 이용한 ‘스마트키(Smart Key)’를 도입해야 한다. 정전·지진·해킹으로 인터넷이 끊겨도 본인 인증이 [...] 2019-09-10 // 0 Comments
“나는 不正義를 고발한다” 자유, 평등, 평화를 강조하는 이유는? 사회운동을 하면서 10년, 20년이 지나고 나니 객관적으로 한국 사회를 볼 수 있었다. [...] 2019-09-03 // 0 Comments
‘참여’는 ‘변화’를 낳는다 정당의 변화는 새로운 정치 가능성을 자연스럽게 떠오르게 한다. 과거와 달리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소수 정당의 약진은 주목할 [...] 2019-08-17 // 0 Comments
“성과·결과 중심주의가 문제다” 한국은 그동안 신제품이나 신기술을 빠르게 추격하는 ‘패스트 팔로워’(Fast Follower)를 중심으로 한 시스템이 대세였다. 그런데 [...] 2019-08-10 // 0 Comments
“칠하고 깎으니 작품이 됐다” 김상태 작가가 새로 만든 기법과 작품을 그가 겪었던 상황을 생각할 때 재활(再活)과 치유(治癒)에서 찾은 새로운 기법(技法)이고, [...] 2019-08-03 // 0 Comments
“이해하는 게 가족이고 행복” 문정기·문종원 가족 이야기 -과학기술자 아버지와 연예인 아들, 담화(談話)로 이야기를 만들다 “이해하는 것이 가족이고 행복” [...] 2019-05-17 // 0 Comments
“시인은 숲으로 가지 못한다” 도정일 교수는 ‘사람, 사회, 역사, 문명에 대한 인문학의 책임을 강조하고 인문학적 가치의 사회적 실천에 주력해온 한국 시대의 [...] 2019-03-07 // 0 Comments
上海에 最初로 ‘우리떡집’ 열다 아침 식사를 떡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려고 했다. 그래서 처음에는 떡을 공짜로 줬다. 반응이 좋았다. 그렇기 때문에 매일, 비가 [...] 2019-02-22 // 0 Comments
‘千年草’와 사랑에 빠진 ‘남자’ 이기영(62) 호서대 식품제약공학부 교수는 ‘노래하는 환경운동가’와 ‘천년초(千年草) 박사’로 유명하다. 그는 또 음반을 낸 [...] 2019-02-22 // 0 Comments
“‘성공한 대통령’ 만들고 싶다” 59열린동지회는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 때 더불어민주당선거대책본부 소속 각 직능 단체에 참여했던 특별위원회 위원장 [...] 2019-02-21 // 0 Comments
“지방의회 역량 강화가 최우선” 우리 지방자치는 ‘강(强) 집행부와 약(弱) 의회’의 구조다. 지방의회가 집행부에 대한 감시와 견제를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 2019-02-16 // 0 Comments
“말의 眞情性이 評論家의 武器” 소년원에서 하는 강의는 주로 용기를 주는 데에 초점을 맞춘다. 이 아이들은 한창 민감한 시기에 순간의 실수를 한 친구들이다. [...] 2019-02-13 // 0 Comments
“脫北民은 또 다른 離散家族” 그날 밤으로 짐을 다 정리하고 초상화(김일성·김정일) 액자를 두 개를 다 닦아놓고, 초상 휘장(김일성·김정일 배지)을 제일 좋은 [...] 2019-02-09 // 0 Comments
“시대정신보다 더 강한 힘은 없다” “외국 사람은 가정과 국가의 분단이라는 아픔과 고통을 잘 모른다. 그래서 외세와 우리 통일 문제를 연결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 2019-02-08 // 0 Comments
“틈새와 여백에 예술이 있다” 김동순 선생은 춤꾼이다. 국가무형문화재 제97호인 살풀이춤을 춘다. 살풀이춤은 지난 1990년 10월 10일 지정한 무형문화재(문화재청 [...] 2019-02-08 // 0 Comments
“흐르지 않는 예술은 썩는다” 하나의 희망은 현대미술을 추구한다는 자부심이었다. 그때도 알루미늄 호일로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을 시기였다. 현대미술은 [...] 2019-02-08 // 0 Comments
“무용접은 비용·시간·내진에 강하다” (주)시스템배관은 무용접 플랜지이음 배관 전문 회사라고 소개하고 싶다. 소방법 기준에 맞춰 용접을 하지 않는, 무용접 조립식 [...] 2019-01-11 // 0 Comments
“예술로 보는 우리 시대의 사람과 사회” 페이스북 친구인 최정우 교수를 만나는 일은 쉽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지난 2017년 여름, 부부가 함께 방한 일정이 있어 [...] 2019-01-07 // 0 Comments